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초 허용지내력에 대하여
    카테고리 없음 2024. 12. 5. 12:00

    기초 허용지내력의 개요

    1. 허용지내력의 정의

    기초 허용지내력(Allowable Bearing Capacity)은 기초가 설치된 지반이 구조물의 하중을 견디는 능력으로, 안전성과 안정성을 모두 고려한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초 설계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며, 지반의 특성과 하중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허용지내력은 극한지내력(Ultimate Bearing Capacity)에 적정 안전율(Safety Factor)을 적용하여 산정됩니다. q_{\text{allowable}} = \frac{q_{\text{ultimate}}}{SF} ] 여기서 𝑞 allowable q allowable ​ 는 허용지내력, 𝑞 ultimate q ultimate ​ 는 극한지내력, 𝑆 𝐹 SF는 안전율입니다.

    2. 기초 설계에서의 중요성

    허용지내력은 과도한 침하나 지반 붕괴를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설계 기준입니다. 과소 평가 시 기초가 불필요하게 커지거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과대 평가 시 구조물의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극한지내력의 구성 요소

    1. 극한지내력의 기본 개념

    극한지내력은 지반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하며, 이는 주로 기초의 형태, 지반의 물리적 특성, 하중의 형태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극한지내력은 다음 세 가지 성분으로 나뉩니다.

    지지력(Q_b): 기초 하부 지반의 압축 강도에 의한 지지력.

    마찰력(Q_s): 기초 측면에서 발생하는 마찰 저항.

    부력 저항(Q_u): 특정 조건에서 상승하는 지하수위나 부력에 의한 저항력.

    2. Terzaghi의 지지력 공식

    가장 널리 사용되는 극한지내력 공식은 Terzaghi의 지지력 이론입니다. 이 공식은 기초 하부의 지반 상태를 고려하여 극한지내력을 산정합니다.

    𝑞 ultimate = 𝑐 ′ 𝑁 𝑐 + 𝜎 ′ 𝑁 𝑞 + 0.5 𝛾 ′ 𝐵 𝑁 𝛾

    c ′ : 유효 점착력(Cohesion) 𝜎 ′

    σ ′ : 유효 상재압(Effective Overburden Pressure)

    𝛾 ′  : 유효 단위 중량(Unit Weight) 𝐵

    B: 기초 폭

    𝑁 𝑐 , 𝑁 𝑞 , 𝑁 𝛾 N c ​ ,N q ​ ,N γ ​ : 지지력 계수

    허용지내력 산정 방법

    1. 실험적 방법

    정적 하중 시험(Static Load Test): 직접 기초에 하중을 가하여 지내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산정법입니다.

    판재하 시험(Plate Load Test): 작은 면적에 하중을 가해 지내력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 면적으로 확장하여 허용지내력을 추정합니다.

    2. 경험적 공식

    경험적 공식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허용지내력을 추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Meyerhof 공식: 지반의 점착력과 내부 마찰각을 활용하여 극한지내력을 계산합니다. Terzaghi 공식: 기초의 형태와 지반 조건을 고려하여 허용지내력을 산정합니다.

    3. 지반조사 결과

    기반 지반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허용지내력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표준관입시험(N-SPT): 말뚝이나 기초 설계 시 많이 사용되며, 𝑁 N값과 경험식을 조합하여 허용지내력을 계산합니다. 콘 관입시험(CPT): 콘의 관입 저항을 통해 기초의 허용지내력을 추정합니다.

    허용지내력 판정 시 고려 사항

    1. 안전율의 적용

    허용지내력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정한 안전율을 적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설정됩니다: 지반 조건이 양호: 2.0~3.0 연약지반이나 불균일한 지반: 3.0 이상

    2. 침하 허용 기준

    침하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허용 침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속 기초: 25~50mm 개별 기초: 10~25mm 말뚝 기초: 10mm 이하

    3. 지반의 특성

    지반의 불균일성과 특성 변화는 허용지내력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모래 지반: 내부마찰각이 중요한 설계 요소로 작용. 점토 지반: 점착력과 압밀 특성을 고려한 설계 필요.

    허용지내력의 문제점 및 대책

    1. 문제점

    지반의 불균일성: 현장 내 지반 특성이 균일하지 않으면 설계가 복잡해지고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침하 과다: 과소 설계로 인해 예상보다 큰 침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극한하중의 과대평가: 경험식의 오용 또는 부정확한 입력값으로 인해 과대평가가 발생할 가능성.

    2. 대책

    정밀한 지반조사: 다양한 시험과 데이터를 통해 정확한 지반 정보를 확보해야 합니다. 안전율 재검토: 지반 조건에 맞는 적정 안전율을 설정. 시공 관리 강화: 시공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여 예상 지내력을 확보.

    결론

    기초 허용지내력, 구조물의 안정성과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설계 요소예요. 기초가 얼마나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 정확히 계산해야, 구조물이 침하나 균열 없이 오랫동안 안전하게 설 수 있거든요. 허용지내력을 정확히 산정하려면 지반 조사, 실험적 방법, 경험적 방법을 조합해서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해야 해요. 뿐만 아니라, 침하 허용 기준과 안전율도 꼼꼼히 고려해야 하고, 시공 과정에서도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해야 설계 목표를 제대로 달성할 수 있어요.

Designed by Tistory.